의원·약국도 실손보험 ‘서류 없이’ 청구!
![[크기변환]18a807c3-76c9-4021-8b04-30e6da90037d](https://naniforest.com/wp-content/uploads/2025/10/크기변환18a807c3-76c9-4021-8b04-30e6da90037d-optimized.png)
네이버·토스로 병원 예약부터 보험금 청구까지 한 번에
실손보험 청구, 이제는 “앱으로 끝”
10월 25일부터 병원급뿐 아니라 의원·약국에서도 ‘실손24’로 보험금 청구가 가능해집니다.
이제 영수증이나 진료비 내역서를 따로 출력하지 않아도,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바로 보험사로 전송할 수 있어요.
📱 실손24 앱 다운로드 후 이용 가능
→ 보험금 청구 메뉴에서 병원 선택 → 진료내역 확인 → 전자청구 완료
어디서 이용할 수 있나요?
현재 전국 요양기관 약 10만 5천 곳 중 1만여 곳이 ‘실손24’ 연계 완료 상태예요.
점점 더 많은 병원과 약국이 시스템을 도입 중입니다.
확인 방법
- 네이버지도나 카카오맵에서 ‘실손24’ 검색
- 실손24 앱 내 ‘참여병원 검색’ 기능 이용
네이버·토스에서도 가능해진다!
다음 달부터는 네이버·토스 앱 안에서도 실손24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병원 예약 → 진료 → 보험금 청구까지 한 번에 처리되는 “원스톱 서비스”로 바뀌어요.
실손24로 청구 시
- 네이버페이 포인트 3,000원 즉시 지급
- 추첨 이벤트로 최대 50만 원 포인트 혜택도 진행 중
부모님·자녀 대신 청구도 OK
앱이 어렵다면 ‘제3자 청구’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고령 부모님 대신 자녀가, 혹은 부모가 미성년 자녀의 보험금을 대신 청구할 수 있습니다.
👪 고령층을 위한 전담 콜센터도 운영 중이라, 사용법 안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병원·약국에도 인센티브가!
‘실손24’ 시스템에 참여하는 요양기관에는
- 보험료 할인(3~5%)
- 신용보증기금 보증료 감면(5년간 0.2%p) 등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병원 입장에서도 서류 발급 부담이 줄고 행정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어 참여 기관은 계속 늘어날 전망입니다.
주의할 점도 있어요
아직 모든 병원과 약국이 연계된 건 아니에요.
앱이나 지도에서 ‘실손24’ 표시가 있는 곳인지 꼭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 청구 기한은 진료일로부터 3년 이내입니다.
입원 진료비나 진단서가 필요한 경우는 기존처럼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하는 질문 (FAQ)
Q1. 실손24는 뭐예요?
A. 실손24는 병원이나 약국에서 받은 진료 내역을 서류 없이 전자 전송해 보험금 청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에요.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진료 내역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보험사로 전달돼, 따로 영수증을 팩스로 보내거나 사진 찍어 업로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Q2. 모든 병원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나요?
A. 아직은 아닙니다.
2025년 10월 기준으로 **전국 약 10만 5천 곳 중 1만여 곳(10%)**만 실손24 시스템에 연계되어 있어요.
다만 매달 참여 기관이 늘고 있으며, 네이버지도·카카오맵에서 ‘실손24’ 검색하면 이용 가능한 병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3. 약국에서도 청구가 가능한가요?
A. 네! 10월 25일부터는 약국도 실손24 청구 대상입니다.
처방전을 조제받은 뒤, 결제 내역이 자동으로 보험사로 전송되어 따로 서류 제출이 필요 없습니다.
Q4. 부모님이나 자녀 대신 청구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제3자 청구’ 기능을 통해 부모님, 배우자, 자녀 등 가족 대신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의 자녀 청구’ 메뉴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진료 내역을 부모가 대신 처리할 수 있습니다.
Q5. 네이버나 토스에서도 청구할 수 있나요?
A. 네, 11월부터 네이버·토스 앱 안에서 바로 청구 가능해집니다.
병원 예약 → 진료 → 보험금 청구까지 한 번에 연결되는 “원스톱 서비스”가 적용됩니다.
이용 시 네이버페이 포인트 3,000원 이벤트도 진행 중이에요.
Q6. 실손24 이용하려면 앱을 꼭 설치해야 하나요?
A.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실손24에서 로그인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바일 앱이 알림·간편 인증 등 기능이 편리해서 권장됩니다.
Q7. 보험금 청구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A. 실손보험 청구는 진료일로부터 3년 이내에 해야 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보험금 지급이 어려워질 수 있으니 가능한 빨리 청구하는 게 좋아요.
Q8. 입원비나 큰 병원 진료비도 전산 청구되나요?
A. 일부 항목은 병원 시스템에 따라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입원비, 진단서 발급이 필요한 고액 진료비는 여전히 수동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Q9. 병원이 실손24에 연계되어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아래 방법 중 하나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손24’ 앱 → 참여병원 검색
- 네이버지도 / 카카오맵 → “실손24” 입력 후 확인
- 병원 창구 안내문 확인 (참여기관은 “실손24 간편청구 가능” 스티커 부착)
Q10. 실손24 이용하면 개인정보는 안전한가요?
A. 보험개발원과 금융감독원이 보안 시스템을 관리하며, 전송되는 자료는 암호화된 형태로 보험사에 전달됩니다.
따라서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는 매우 낮습니다.
정리하면!!
- ✔ 10월 25일부터 의원·약국에서도 ‘실손24’ 청구 가능
- ✔ 네이버·토스에서도 11월부터 이용
- ✔ 부모님·자녀 대신 청구 가능
- ✔ 참여 병원은 계속 확대 중
- ✔ 포인트 이벤트 혜택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