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단통법이 폐지된 2025년, 이젠 누구나 보조금 전쟁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단말기 싸게 사는 공식, 어디서 사야 더 저렴한지, 자급제폰 vs 통신사폰 비교,
놓치기 쉬운 결합 할인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단통법 폐지됐다고 그냥 사면 호갱 됩니다
“이제 단통법 폐지됐다는데… 그냥 아무 매장에서 사도 되는 거 아니야?”
NO! 오히려 지금부터가 진짜 눈치 싸움의 시작입니다.
보조금이 자유화된 만큼, 정보력에 따라 수십만 원 차이가 생기죠.
- ✔ 자급제폰? 통신사폰?
- ✔ 결합할인 챙겨야 할까?
- ✔ 지금이 살 타이밍일까, 기다려야 할까?
이제부터 2025년 단말기 싸게 사는 핵심 전략 5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
1. 자급제폰 + 알뜰폰 요금제 조합이 최강
가장 많이 선택하는 꿀조합입니다.
자급제폰이란?
- 통신사 약정 없이 구매하는 공기계
- 쿠팡, 11번가, 삼성·애플 공식몰 등에서 직접 구매 가능
어떤점이 좋을까?
- 통신사 약정 없음 → 자유롭게 요금제 선택
- 알뜰폰 조합 시 월 1~2만 원으로 통화·데이터 OK
- 3년 기준 60~100만 원 이상 절약 효과
추천!!!
- 기존 요금제 너무 비싸게 쓰고 있었다면
- LTE만 써도 충분한 사용자라면
2. 통신사폰도 "선택약정" 할인으로 저렴하게
자급제가 어렵거나 무이자 할부가 필요할 땐 통신사폰도 나쁘지 않습니다.
선택약정 할인
- 약정 대신 매달 통신요금에서 25% 할인
- 최신폰 + 무이자 할부 + 할인까지 가능
- 예: 요금제 8만 원 → 25% 할인 = 월 6만 원 수준
TIP:
- 개통 시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중 더 유리한 걸 선택
- 고가 요금제일수록 선택약정이 유리한 경우 많음
3. 단말기 보조금, "대리점 직접 문의"가 핵심
2025년부터는 대리점별 보조금 차이가 커졌습니다.
공시지원금이 사라진 대신, 지역별/판매점별로 “+20만 원, +30만 원”씩 현금지급이 붙기도 하죠.
실전 팁
- 근처 판매점 3곳 이상 전화 비교
- “이번 주 아이폰15 프로 보조금 얼마예요?” 식으로 물어보기
- 인터넷카페나 중고나라에서 ‘성지’ 후기 찾아보기
⚠ 주의: 너무 과도한 보조금은 불법 보조금일 수 있으므로, 정식 개통 확인 필수!
4. 온라인몰 특가 + 카드 제휴 할인 노리기
쿠팡·SSG·G마켓 등 온라인 유통망에서도 특가 자급제폰이 종종 뜹니다.
활용 방법
- 카드사 할인, 브랜드 데이, 타임딜 등 적극 활용
- 통신사 제휴 카드로 월 요금 할인까지 더하면 추가 세이브
- 네이버쇼핑 최저가 비교로 실시간 가격 추적
예시:
- 갤럭시 S24 자급제폰 + 우리카드 7% 할인 + 적립금까지 = 15만 원 절약
5. "결합할인"으로 가족 전체 요금 줄이기
단말기 자체 가격뿐 아니라 통신요금 절약도 중요한 포인트!
결합 할인 종류
- 인터넷 + 모바일 결합 (예: KT 인터넷 + 핸드폰 2대)
- 가족 2~3인 이상 결합 시 월 1~2만 원 추가 할인
팁:
- 이미 가족 중 통신사 이용자 있다면 꼭 묶어보세요
- 알뜰폰도 일부 결합 가능 (헬로모바일, 유플러스 알뜰 등)
2025년, 정보력 있는 사람이 "할인"을 먹는다
단통법이 폐지되며 보조금 전쟁의 문이 열렸습니다.
하지만 ‘아는 사람만 싸게 산다’는 원칙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정리하자면
- 자급제폰 + 알뜰폰 조합이 기본
- 통신사폰도 약정할인과 무이자 활용하면 OK
- 온라인몰 + 대리점 비교는 필수
- 결합 할인은 무조건 챙기기
반응형